HTTP 통신에서 쿠키가 설정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먼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합니다. 이때 웹 서버에서 JSP, CGI, ASP, 서블릿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설정하면 브라우저는 전달 받은 쿠키 값을 클라이언트의 메모리나 파일에 저장을 하고 나서 요청 페이지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이후 클라이언트가 다시 서비스를 요청할 때에는 요청페이지의 정보와 쿠키 정보를 함께 웹 서버에게 전달하게 되고 웹 서버에서 이 쿠키 값을 전달 받아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즉, 한번 쿠키 값이 설정되면 쿠키 값을 설정한 서버로 요청할 때에는 무조건 쿠키 값을 서버로 전달하게 됩니다.
웹서버가 쿠키를 설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HTTP 응답헤더에 값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쿠키는 쿠키의 이름과 값의 쌍으로 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에 부가적인 정보가 뒤에 붙습니다.
Set-Cookie : name = value; expire =date;
path=path; domain = domain; secure |
name = value : 쿠키 이름과 쿠키 값 기술 expire =date : 쿠키의 유효기간 기술 path = serverPath : 쿠키가 전송 될 Server의 URL 패스를 기술, 패스가 맞는 경우에만 쿠키를
전송 domain = serverDomain : 클라이언트가 저장된 쿠키가 요청 시에
전송될 서버의 도메인 기술 secure : SSL과 같은 호스트와 보안성이 있는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쿠키를 전송 |
쿠키를 설정할 때 expires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파일에 저장되고 그렇지않은 경우에는 저장되지 않는데 이때는
웹 브라우저가 살아있는 경우에만 그 쿠키의 내용이 유효합니다. 이 쿠키의 정보는 Internet Explorer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Cookies라는 폴더에 저장되고 Netscap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Cookie.txt 파일에 저장됩니다.
'프로그래밍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렉트박스 -> 레이어 변환 스크립트 HTC 버전 [출처] 셀렉트박스 -> 레이어 변환 스크립트 HTC 버전 (0) | 2009.01.29 |
---|---|
javascript pause (0) | 2009.01.09 |
createElement로 select 생성후 onChange이벤트 주기 (0) | 2008.12.22 |
자바스크립트 Explorer debugger (0) | 2008.12.22 |
prototype.js (0) | 2008.12.09 |